2014년 4월 29일 화요일

전립선암 검진을 둘러싼 논란

증상이 없는 환자에서 검진을 시행하는 목적은 검진을 통해 암을 조기에 발견하여 암으로 인한 사망률을 낮추려는 것이다.

전립선암의 경우 최근 혈액 내 종양표지자인 PSA를 통한 검진의 유용성에 대해 많은 논란이 있었다. 그 이유는 전립선암이 다른 암에 비해 서서히 진행하기 때문에 임상적으로 의미 없는 암을 진단할 위험이 높다는 것이다. 이 경우 검진으로 인한 조기진단은 과진단 및 과치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아래 인포그래픽을 통해 잘 알 수 있다. 1000명이 PSA 검사를 했을 때, 100-120명이 위양성 결과로 불필요한 불안, 조직검사 등의 문제를 겪고, 110명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으며, 이중 50명에게 수술로 인한 부작용이 생기고, 4-5명이 전립선암으로 사망하는데 결국 검진으로 사망을 피할 수 있는 사람 수는 0-1명에 불과하다는 것.

출처: NCI Cancer Bulletin
http://www.cancer.gov/ncicancerbulletin/112712/page12


PSA를 이용한 전립선암 검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미국과 유럽에서의 대단위 연구는 상반된 결과를 보고했다. 가장 중요한 결과인 전립선암 사망률을 비교한 대표적인 연구들이다.
유럽에서 시행된 European Randomized Study of Screening for Prostate Cancer(ERSPC)에서는 전립선암 검진을 하는 경우 9년간 추적 시 검진을 하지 않는 경우보다 전립선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20% 감소했으며,1) 11년 추적 시 21% 감소했다.2)
그러나 미국 National Cancer Institute(NCI)의 Prostate, Lung, Colon, and Ovary(PLCO) Trial에서는 7~10년간 추적한 결과 전립선암 검진이 전립선암 사망률을 낮추지 못하였고,3) 13년간 추적에서도 검진 유무에 따른 사망률은 차이가 없었다.4) Goteborg Prostate Cancer Screening Trial에서도 전립선암 검진이 전립선암 사망률을 낮추는 데 실패하였다.5)

2012년 미국 예방의료서비스 특별위원회(USPSTF)에서는 PLCO 연구 결과를 반영해 전립선암 검진을 권고하지 않는 연령을 기존 75세 이상에서 전 연령으로 확대했고, 전립선암 검진을 하지 않아야 한다고 못박았다.

반면 미국비뇨기과학회의 경우 PSA를 통한 검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단, 2013년 미국비뇨기과학회에서 기존 가이드라인을 수정해 대상 연령을 55-69세로 조정했는데, 이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에서 잘 설명하고 있다.
http://urologist.kr/319 (전립선암 건강검진의 가이드라인 : 55-69세의 건강한 남성의 경우 PSA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ERSPC 연구는 현재까지 전립선암 검진이 전립선암으로 인한 사망을 줄인다고 보고한 유일한 대규모 연구이지만, 이 연구에서도 과진단으로 인한 불필요한 조직 검사, 치료 문제가 제기된 바 있다. NNT(1건의 전립선암 사망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검진 수)는 작을수록 불필요한 검사가 적다는 뜻인데 기존 분석 결과 9년 1410 -> 11년 1055로 줄어든 바 있다.
최근 이 연구의 13년 추적 관찰 결과가 발표되었는데 이 숫자가 더 줄어들었다고 한다. 구체적인 내용이 출판되는 것을 기다려야겠지만, 앞으로도 전립선암 검진 효과에 대한 논란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1) Schröder FH, et al. Screening and prostate-cancer mortality in a randomized European study. N Engl J Med 2009;360:1320-8.
2) Schröder FH, et al. Prostate-cancer mortality at 11 years of follow-up. N Engl J Med. 2012 Mar 15;366(11):981-90.
3) Andriole GL, et al. Mortality results from a randomized prostate-cancer screening trial. N Engl J Med.2009;360:1310-9.
4) Andriole GL, et al. Prostate cancer screening in the randomized Prostate, Lung, Colorectal, and Ovarian Cancer Screening Trial: mortality results after 13 years of follow-up. J Natl Cancer Inst 2012;104:125-32.
5) Hugosson J, et al. Mortality results from the Göteborg randomised population-based prostate-cancer screening trial. Lancet Oncol 2010;11:725-32.

2014년 4월 28일 월요일

2014년 설 명절의 기억.

어머니가 잠깐 외출하신 사이 주방에서 일을 하던 아내가 밥통의 물받이를 빼내 씻기 시작했다. 한동안 물받이 청소가 안되었는지 곰팡이가 파랗게 가득 차 있었다.

나는 주변이 잘 정리되어 있지 않으면 일을 못하는 성격인데, 어려서부터 깔끔한 성격의 어머니가 주변을 정리하시는 모습을 보고자랐기 때문인 것 같다. 어머니는 늘 집안의 먼지 하나도 그냥 두고 넘기지 못하셨다. 헌데 몇 년 전부터는 가끔 본가에 머물 때면 잘 안쓰는 가구에 엷게 앉은 먼지를 발견하곤 했다. 어머니가 이전처럼 청소를 하기가 힘에 부치시나보다 생각하면서 그 먼지를 볼 때면, 왠지 세월의 두께가 느껴지기도 하고 조금은 서글퍼지기도 했다.

이전만큼 집안일에 힘을 못쓰신다 해도 매일 만지는 밥통의 물받이가 저지경이 되도록 두실 분은 아닐텐데. 요즘 성당 사목회 일에 참 바쁘셨나보다 생각하고 넘겼지만 영 마음이 찜찜했다. 아내는 밥통 청소를 마치고 이번엔 가스레인지의 묵은 때를 씻기 시작한다. 그러고보면 예전엔 가스레인지도 반짝반짝 광이 났는데 지금은 아니다. 칠순을 앞둔 연세에 하루하루를 너무 고단하게 보내시는 건 아닌지. 눈이 많이 어두워지신 건 아닌지.

*
그믐날 오후엔 외갓집에 인사드리러 갔다. 외할머니가 돌아가신 이후에도 명절이면 외가 식구들은 늘 이 집에 모인다. 군 제대를 앞두고 당한 교통사고로 지능이 유아 수준으로 퇴행해버린 막내 외삼촌은 이 집이 아니면 길을 찾아올 수 없기 때문에 집엔 여전히 막내 외삼촌이 살고있다.

오래 전 외할아버지가 돌아가신 뒤에도 외할머니는 막내 아들을 돌보며 이 집을 지키셨다. 어린애가 되어버린 아들을 수십년간 지켜보는 당신의 마음은 어떠셨을까. 하지만 할머니는 슬퍼하거나 원망하는 모습을 한번도 보이지 않으셨다. 그런 할머니가, 돌아가시기 얼마 전 갑작스레 건강이 나빠져 입원한 병실에서 눈을 감은 채 짧게 말씀하셨단다. '이젠 고만 두련다...' 큰아들은 그 말씀을 들으며 이제 어머니가 진짜 돌아가시겠구나 하고 느꼈다고 한다.

"명절이라 네가 가족들과 함께 오니까 참 좋구나." 외할머니 이야기를 하시던 첫째 외삼촌이 나를 보고 허허 웃으며 말씀하신다. 첫째 외삼촌은 지금도 주말이면 아이가 되어버린 막내 동생을 데리고 목욕탕도 가고, 차를 태워 교외에 바람도 씌워준다. 외조부모님이 살아계실 땐 두 분께 더할나위 없이 지극한 효자였고, 두분이 돌아가신 지금엔 누님인 우리 어머니를 당신 어머니인 외할머니 대하듯 살뜰하게 챙기는, 그런 정많은 분이시다.

외할머니가 안계신 명절에도 사촌동생들이 같은 모양새로 모여앉아 전을 부친다. 집안 가득 고소한 기름 냄새와 왁자지껄한 웃음소리에 둘러싸여 있음을 느꼈을 때, 비로소 명절임을 확인받는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
설날 오후를 처가에서 보내고 다음날 아침 처가 동생들과 읍내의 목욕탕에 갔다. 시골 읍내 목욕탕이니 조그맣겠거니 생각했다가 제법 큰 규모에 놀라고 생각보다 사람이 많아서 더 놀랐다. 아이들을 데리고 온 아빠들이 특히 많았다. 두 개의 온탕은 얼굴이 벌개진 사람들로 가득차 들어갈 수가 없을 정도였다.

성인이 된 다음 공중목욕탕에 가는 것은 일년에 한번 있을까말까 한 일인데, 산좋고 물좋은 관광지가 아닌 동네 목욕탕에 간 것은 언제가 마지막이었는지 생각도 나지 않는다. 냉탕을 뛰어다니는 꼬마녀석들과 아이의 등을 밀어주는 아빠의 흐뭇한 표정을 보며 어렸을 적 아버지와 함께 일요일마다 다니던 목욕탕 건물의 굴뚝이 기억났다. 탈의실의 싸구려 남성화장품 냄새와 수건에서 풍기는 덜마른 빨래냄새, 탕 안에서 울리던 아이들의 웃음소리도.

*
이번 설은 유난히 따뜻했다. 남들보다 하루 늦은 귀경길 도로에서 계기판의 외기는 오십킬로미터마다 일도씩 떨어졌다. 그곳에선 봄냄새 가득한 바람이었지만 서울에 도착하니 삭풍이었다. 내일은 입춘 한파라니, 잔뜩 추스리고 나서야할 것 같다.

2014. 2. 3

눈 영양제, 먹어야하나?

많은 분들이 '눈 영양제'를 복용합니다. 그 근거는 얼마나 있을까요?

눈 건강을 위해 먹는 비타민, 미네랄 등의 보충제에 대한 근거로 흔히 언급되는 것은 황반 변성 환자에 대한 AREDS(Age-Related Eye Disease Study) 연구입니다.
http://archopht.jamanetwork.com/article.aspx?articleid=268224

이 연구는 황반 변성이 있는 3,600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산화 비타민(비타민C 500mg + 비타민E 400iu + 베타카로텐 15mg)과 아연 80mg + 구리 2mg 등 미네랄의 효과를 위약과 비교한 것으로, 황반 변성에 대한 영양제의 효과가 확인된 유일한 위약-대조 연구입니다. 특정 약의 효과에 대해 가장 신뢰할만한 연구 방법이 위약과 비교하는 것이지요. (위약에 대해서는 이전에 포스팅을 한 바 있습니다. http://fmdoctor.blogspot.kr/2011/11/placebo-effect.html)

연구 결과 해당 항산화 비타민과 아연, 구리 보충제를 함께 복용한 경우 위약 대비 25% 정도의 황반 변성 진행, 시력 약화 억제 효과가 있었습니다.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출시된 것이 콘택트렌즈 회사로 잘 알려진 바슈-롬의 '오큐바이트 프리저비전'입니다.


성분은 AREDS 연구에 쓰인 성분과 동일한데, 정제 형태로 같은 용량을 복용하기 위해서는 2알씩 하루 2회, 총 4알을 먹어야하는 불편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2배 용량의 연질 캡슐 제품이 나와 있으므로 이것을 복용하는 것이 불편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 연질 캡슐의 경우 아래의 성분표에서 볼 수 있듯이 1캡슐에 AREDS formula의 절반 용량이 들어있으므로 1캡슐씩 하루 2회 복용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AREDS 연구에 쓰인 비타민 성분 중 고용량 베타카로틴의 경우 흡연자에서 폐암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데, 이 때문에 진행된 후속 연구가 AREDS 2 연구입니다.
http://jama.jamanetwork.com/article.aspx?articleid=1684847
이 연구에서는 기존 AREDS formula에 더해 루테인(lutein)+지아잔틴(zeaxanthin), 오메가-3 등의 효과를 분석했는데, 연구 결과 이들 성분을 첨가했을 때 부가적인 효과는 없었지만 AREDS formula에서 베타카로틴을 빼고 루테인, 지아잔틴을 넣었을 때도 기존의 황반 변성 진행 억제 효과는 동일하게 유지되었습니다. 이 결과를 고려할 때 흡연력이 있는 황반 변성 환자의 경우 베타카로틴 대신 루테인+지아잔틴을 포함시킨 제제를 복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바슈롬 사이트에서 위의 제품들 포함해 관련 제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http://www.bausch.com/en/our-products/eye-vitamins/age-related-eye-vitamins-landing/

이중 우리나라에는 하루 4알을 복용해야 하는 AREDS 정제 제품만 정식 수입되어 있습니다. http://www.bausch.kr/ko-kr/our-products/eye-vitamins/ocuvite-preservision/
안과에서 황반 변성 환자들에게 처방하는 제품이기도 합니다. 국내 성분표에는 하루 1알을 복용하도록 되어있으나, 효과가 확인된 것은 AREDS formula 뿐이므로 2알씩 2회, 하루 4알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질 캡슐이나 AREDS 2 제제는 정식 수입이 안되었지만 인터넷을 통해 구입할 수 있는 것 같네요.

비타민A의 경우 망막 세포에서 빛을 신경 전달 신호로 바꾸는데 필요하고, 부족한 경우 야맹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 A의 전구체이며, 루테인의 경우 망막 황반의 주요 성분입니다. 이들 성분을 따로 복용하는 것이 시력 개선에 도움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게 된 이유이지요.

AREDS formula의 주요 성분 용량을 줄여 눈 영양제로 판매하는 제품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황반 변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 외에 단순한 시력 개선 목적이나 눈 건강에 문제가 없는 사람들이 시력 저하 예방 목적으로 복용하는 '눈 영양제'들에 대한 근거는 빈약합니다.

블루베리 계통으로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푸한 빌베리(Bilberry) 역시 눈 건강에 좋은 식품으로 알려져 있습니다.(학명은 바키니움 미르틸루스, vaccinium myrtillus)  2차 대전 당시 어느 전투기 조종사가 빌베리 잼을 먹고 야간 시력이 좋아졌다는 보고를 했다고 알려졌지만 근거는 확실치 않습니다. 이후 빌베리 추출물에 대한 몇몇 소규모 연구들에서 야간 시력 개선 효과를 보이기도 했지만 비교적 최근에 수행된 질 높은 연구들에선 대부분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http://www.ncbi.nlm.nih.gov/pubmed/14711439?dopt=Abstract)

빌베리 추출물을 주 성분으로 한 눈 영양제들은 이 성분을 두고 시력 보호와 개선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역시 그 과학적 근거는 빈약합니다. 눈 영양제를 먹고 눈이 밝아졌다거나 눈이 덜 피로하다고 하는 주변의 경험들도 위약 효과일 가능성이 더 많습니다.






2014년 4월 9일 수요일

걱정과 불안이 병원을 찾게 한다.

50대 여성이 걱정이 가득한 얼굴로 건강 검진 결과를 듣기 위해 진료실에 들어왔다.

건강 검진을 받는 이유는 다양하다. 요즈음은 특별히 불편한 곳이 없어도 1-2년에 한번씩 때가 되면 건강 검진을 챙겨 받는 사람들이 많지만 대개는 역시 건강 검진을 위해 병원을 방문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가 있기 마련이다.

‘최근 위경련이 자주 있어 걱정임.’ 

미리 흝어본 환자 관련 정보를 다시 확인하고, 일상적인 질문으로 상담을 시작했다.
“이번에 건강 검진 받게 된 특별한 이유가 있으셨나요?”
불안한 표정의 그녀가 마주앉은 의사의 질문에 대답하는 대신 다짜고짜 묻는다. 
“위 조직검사를 했는데 그 결과가 어떤가요?”
"위에 염증이 있어서 확인차 조직검사를 했지만 결과는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직도 뭔가 찜찜한 표정인 그녀에게 한마디 더 덧붙였다.
"전체적인 결과도 괜찮습니다. 편한 마음으로 들으시면 되요."
그제서야 그녀의 굳어있던 얼굴이 좀 부드러워지고, 본인도 어색함을 느꼈는지 멋쩍게 웃는다.
"검사 받고 불안해서 며칠간 잠을 제대로 못잤는데 정말 다행이네요."

그녀의 아버지는 위암을 앓다가 돌아가셨다. 그녀 역시 젊어서부터 조금만 신경을 쓰면 소화가 안되곤 했다. 그럴 때면 명치 아래에 돌덩이가 놓여있는 느낌이었다. 병원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없다며 대개는 대수롭지 않게 이야기했다. 그럴 때면 꼭 꾀병 환자 취급을 받은 듯해 기분이 상하기 일쑤였다. 용하다는 한의원에서는 비위가 약한 체질이라고 했다. 이곳 저곳에서 처방을 받아 약을 먹었지만 그때 뿐, 시간이 지나면 명치 끝의 돌덩이는 어김없이 다시 찾아왔다. 

남편은 소화불량을 달고 사는 아내를 보고 예민한 그녀의 성격 탓이라 했다. 결혼 초기와는 달리 그녀의 증상에 심드렁하거나 짜증 섞인 반응을 보이는 남편에게 종종 서운한 마음도 들었지만 그녀 자신도 스스로의 성격이 문제겠거니 생각했다. 아버지의 병명을 알게 된 이후로 증상은 더 심해졌고, 이전보다 더 걱정이 되었음에도 한편으론 겁이 나기도 해서 부러 병원을 찾지 않았다. 

위에 무언가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였다. 유방암 수술을 받은 고교 동창의 병문안을 다녀온 날 밤이었다. 명치 끝이 뒤틀리는 통증에 식은땀을 흘리며 잠을 깼고, 결국 구급차를 불러 근처 병원 응급실을 찾았다. 수액과 진경제를 맞고 통증이 가라앉았지만 그날 밤의 경험으로 그녀의 불안은 더욱 커졌다. 응급실 의사는 스트레스로 인한 위경련이라고 했지만, 아버지로부터 물려받은 몸이니 자신의 위에도 암세포가 자라고 있을 것 같았다. 결국 큰맘 먹고 종합 검진을 신청했다. 위내시경 검사가 끝나고 조직검사를 했다는 설명을 듣고 그날부터 지금까지 잠을 제대로 자지 못했던 것이다.

과거에는 불편한 증상이 생겼을 때 병원을 찾았다. 하지만 만나야할 사람도 많고 보고 들어야 할 매체도 많은 요즘에는 병원을 찾는 이유가 꼭 특정 증상 때문만은 아니다. 증상보다 걱정과 불안 때문에 외래 진료실을 방문하거나 건강 검진을 신청하는 경우를 흔히 볼 수 있는데, 그 불안을 키우는 것이 가족이나 가까운 지인의 건강 문제일 때도 있고 대중 매체의 잘못된 정보일 때도 있다. 

물론 그녀처럼 원래 있던 증상이 걱정과 불안 때문에 더 심해지기도 한다. 위경련은 위장이 과도하게 수축해서 명치 끝을 비트는 통증을 일으키는 것으로, 위장의 본래 운동 기능이 어그러져서 생기는 증상이다. 우리가 모르는 와중에도 위장은 자율신경의 명령을 받아 열심히 소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데 걱정과 불안으로 신경 계통의 명령 체계가 흐트러지면 위장도 제대로 운동을 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종종 위경련이나 기능성 위장장애, 과민성 장질환과 같은 흔한 질환으로 나타난다. 

위장 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체 장기의 기능성 질환은 대부분 걱정과 불안으로 인해 악화된다. 긴장성 두통, 어지럼증, 근막통, 불면증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암과 같은 위중한 질환은 치료가 가능한 초기엔 대개 증상이 없어 병원을 찾지 않는다. 반면에 기능성 질환은 위중하진 않지만 오히려 환자 입장에선 때론 죽을만큼 괴로운 병이기에 병원을 찾는 훨씬 흔한 원인이 되곤 한다.

전반적인 컨디션이 나아지면 밀물에 암초가 잠기듯 증상은 수면 밑으로 자연스레 가라앉는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능성 질환의 경우 증상 자체를 없애려 애를 쓰기보다 스스로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집중하는 것이 좋은 해결책이 되기도 한다. 과로를 피하고 운동을 통해 체력을 늘리는, 어찌 보면 뻔한 방법이 다양한 기능성 질환의 근본적인 처방이 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2014년 4월 4일 금요일

아버지의 전화

휴대폰에 아버지의 전화번호가 뜨면 설핏 긴장하게 된다. 아버지가 먼저 전화 하시는 일은 일년에 한두번 있을까 말까한 일이고, 뭔가 특별한 용건이나 부탁이 있을 때 뿐이다.

아버지와의 전화 통화는 어색하다. 기껏해야 1-2분 남짓한 대화도 중간에 끊기기 일쑤이다. 뜨뜻미지근한 안부 인사 뒤에 본론이 불쑥 튀어나오고 용건에 관한 대화가 끝나면 성급하게 마무리되는 식이다. 아버지와 다 큰 아들 사이는 다 그런거라고, 시시콜콜 무슨 말이 필요있냐고 하지만 몇년 전까지 내게 그 말의 속뜻은 서로를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 아니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부분이 없다는 것에 더 가까웠다. 어떻게 보면 아버지는 그저 어머니와 우리들 곁에 무심코 서있는 존재일 뿐이었다.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고 나이를 먹어가면서 문득 문득 아버지를 더 많이 이해하게 됨을 깨닫는다. 아버지와의 대화가 더 많아지거나 아버지를 더 이해하려는 노력을 한 것은 아니다. 그냥 물이 흐르듯 자연스레 이루어지는 일이다. 내가 처음 서게 된 자리에 이미 아버지의 발자국이 수없이 찍혀있다는 것을 발견하는 것, 내가 처음 알게된 것들 역시 이전에 아버지가 수없이 고민했던 것이란 걸 느끼게 되는 것이다.

불혹이 넘은 나이이지만 아직도 세상 돌아가는 일에 갈팡질팡 할 뿐인데, 아버지처럼 삼십년을 더 살면 세상의 이치를 더 깨닫게 될지는 모르겠다. 단지 내가 당신의 뒤를 잘 따라가고 있다고, 십년 전보다 당신에 대해 더 많이 생각하고 있다고, 더 늦기 전에 말씀드려야 할 것 같다. 내가 아버지를 이전보다 더 많이 이해하는 것처럼,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벌써 다 알고계실 것 같지만.

2014년 4월 3일 목요일

고백

- 왼쪽 눈꺼풀이 자주 떨려요.

- 주로 언제 그러세요?

- 피곤하거나 신경 많이 쓸 때 더 그런 것 같아요.

- 저도 종종 그래요. 눈꺼풀 떨림증이라고 하는데... $%#!&...

진료실을 찾는 이들은 다양한 증상을 이야기하지만 그 증상들이 모두 큰 병과 관련된 것은 아니다. 또 막상 증상으로 인한 불편함보다 큰 병에 대한 걱정으로 의사를 찾는 경우도 흔하다.

증상 자체보다 걱정과 불안때문에 여러 병원을 전전하느라 심신이 피폐해진 환자를 볼 때면, 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는 영화 제목이 떠오르기도 하는데, 이런 경우 증상에 대해 공감하고 중풍이나 암과 같은 큰 병이 아니라는 것을 잘 이해시키는 것이 곧 치료가 된다.

설명할 시간이 충분치 않을 때 내가 종종 쓰는 방법은 스스로 같은 증상을 가진 환자가 되는 것이다.(물론 상당수의 증상은 실제 경험이기도 하다.) 한참 걱정스런 얼굴로 스스로의 증상을 설명하던 그는 앞에 있는 의사도 같은 증상이 있다는 고백에 한결 편안한 표정이 되곤 한다.

이번 주만 해도 진료실에서 눈꺼풀 떨림증, 수족 냉증, 손발 저림, 흉통 환자임을 고백했다. 때론 그 고백이 내가 처방한 진통제보다 더 많은 도움을 주리라는 것을 알고 있기에, 앞으로도 고백은 계속될 예정이다.

그나저나 그 어떤 증상보다 더 확신을 가지고 순수한 마음으로 고백하며 환자와 공감을 나눌 수 있는 증상은 역시 건망증이다. 가끔은 환자와 누구의 건망증이 더 심한지 배틀이 붙을 정도인데, 급속 냉동 수준으로 굳어져가는 이 뇌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칼슘 보충제, 먹어야하나?

칼슘 보충제를 먹는 이유는 대개 뼈 건강을 위해서입니다. 

하지만 최근 개정된 미국질병예방서비스특별위원회의 권고에 따르면 칼슘 보충제 복용이 골절을 예방한다는 과학적 증거는 확실치 않습니다. http://www.uspreventiveservicestaskforce.org/uspstf/uspsvitd.htm

개정된 권고안을 보면, 골다공증이나 골절이 특히 문제가 되는 폐경 후 여성에서 1000mg 이하의 칼슘 보충제와 400IU 이하의 비타민 D 보충제는 골절 예방의 근거가 없으므로 복용하지 않도록 권고했습니다. 

그 이상 용량(1000mg 이상의 칼슘 보충제, 400IU 이상의 비타민 D 보충제)을 복용하는 경우나 폐경 전 여성, 남성의 경우는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고 했습니다. 

최근 칼슘 보충제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발표된 바 있는데,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에 대한 연구 결과가 추가로 발표되었습니다.(아래 링크) 그간 논란을 일으켰던 보충제 뿐만 아니라, 식사로 인한 섭취까지 다 고려해서 연구를 진행한 점이 특징적입니다. 보다 현실적인 상황을 반영한 연구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결론을 보면, 남자에서는 하루 400mg 이상의 칼슘 보충제는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에서는 특별한 영향이 없었구요. 총 칼슘 섭취량의 경우 남성에서 하루 1500mg 이상을 섭취했을 때 심혈관질환 사망 위험이 높아졌습니다. 사실 칼슘 보충제를 먹지 않는 경우 하루 1500mg 이상을 먹기는 쉽지 않습니다. 

물론 이 연구 결과들은 우리보다 칼슘 섭취가 많은 서구인들을 대상으로 한 것입니다. 한국 성인의 칼슘 권장 섭취량은 하루 700mg 정도(미국인의 경우 1000-1200mg)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의 실제 섭취량은 450~500mg 정도로 권장 섭취량의 70% 수준이므로 섭취를 늘려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최근의 연구 결과들을 고려하면, 역시 칼슘은 보충제로 먹는 것 보다는 식품에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특히 남성의 경우 칼슘 보충제로 인한 심혈관계 부작용이 더 클 수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유 1컵은 200mg, 치즈 1장은 100mg의 칼슘이 들어있습니다. 칼슘 강화 제품의 경우 2배 가량 더 들어있으므로 칼슘 강화 우유 한 잔을 더 마시면 대부분의 경우 부족한 부분을 채울 수 있습니다. 달래, 무우청, 고춧잎 등의 채소도 1회 분량당 100mg이 넘는 칼슘이 들어있는 좋은 급원 식품입니다. 멸치나 뱅어포 등 뼈째 먹는 생선도 좋습니다. 

식품의 칼슘 함량

골다공증과 같이 골절 위험을 직접적으로 높이는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보다 적극적인 칼슘 보충이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의사와 상의를 해 칼슘/비타민D 보충제 복용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참고 문헌

Xiao Q, Murphy RA, Houston DK, Harris TB, Chow WH, Park Y. Dietary and supplemental calcium intake and cardiovascular disease mortality. JAMA Intern Med 2013; DOI:10.1001/jamainternmed.2013.3283. 
http://archinte.jamanetwork.com/article.aspx?articleid=1568523

유방암 고위험(BRCA 유전자 변이)군에서 예방적 유방 절제술의 효과에 대해

유전성 유방암 전문가는 아니지만 관련 사안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어 개인적인 의견을 정리합니다
예방적 유방절제술의 효과와 관련된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예방적 유방절제술을 받은 고위험군 214명 중 3(1.4%)에서 유방암이 발생했고, 이들의 자매(가족력상 고위험군이지만 수술을 받지 않은 사람들) 403명 중 156(38.7%)에서 유방암이 발생. (상대위험도 감소는 약 90%)
* 이 연구에서 고위험군은 BRCA 변이 양성이 아니라 가족력으로 정의한 것입니다. 2년 뒤 같은 연구자가 BRCA 변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예방적 유방절제술을 받은 고위험군 176명 중 26명이 BRCA1 또는 BRCA2 변이 양성이었고, 13.4년 추적 관찰 기간 동안 BRCA 변이가 있는 사람들 중 유방암 발생은 0 (기존 데이터에 의한 모델로 추정한 예상 발생 건수는 6~9명이었으며, 상대 위험도 감소는 89.5~100%)
* 위의 연구는 대상 수가 너무 작고, 위험도 감소가 추정에 불과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최근 아래 연구가 발표된 바 있습니다. 현재까지 이와 관련된 연구 중엔 끝판왕인 것 같습니다.

1974~2008년까지 BRCA 검사를 받은 22개 센터, 2,482명을 대상으로 합니다. 예방적 유방절제술을 받은 247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사람은 0, 수술을 받지 않은 1372명 중 유방암이 발생한 사람은 98명이었습니다. 이 연구는 유방절제술보다 예방적 난소절제술의 사망 예방 효과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므로 유방절제술의 사망 예방 효과를 따로 분석하진 않았습니다.

물론 이 연구들로 유방암 발생이 아닌 궁극적인 사망 예방 효과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BRCA 변이가 있는 고위험군에서 예방적 유방절제술의 사망 예방 효과에 대해선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요. 하지만 위의 절대 수치 감소 역시 충분히 의미있는 수치가 아닐까요? 게다가 고위험군은 대부분 유방암 환자를 곁에서 오랫동안 지켜본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며, 그들에게 유방암이 주는 무게는 매우 현실적입니다.

특히나 안젤리나졸리와 같은 당사자 개인에게 충분한 정보가 전달되지 못했다고 단정하는 것은 무조건적인 옹호만큼이나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근거를 중시하며, 전립선암 검진에 있어 PSA의 역할에 부정적인 입장인 미국암연구소에서는 BRCA 변이가 있는 고위험군이 선택할 수 있는 3개의 옵션 중 하나로 예방적유방절제술을 포함시키고 있습니다. http://www.cancer.gov/cancertopics/factsheet/Risk/BRCA

위에 링크한 BRCA 관련 Domchek의 연구에서 BRCA 변이 고위험군 100명당 발생 건수는 10명 이내였고, 이들 중 30%가 사망한다고 가정하면 3명 정도이니 예방적 유방절제술로 얻을 수 있는 사망에 대한 절대위험도 감소분도 이 정도로 생각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0명을 수술해 한 명이 유방암에 걸리는 것을 더 예방하고, 30명을 수술해 한 명이 유방암으로 사망하는 것을 예방하는 수술을 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되겠지요. 30명 중 한 명에 속할 것인지 29명에 속할 것인지 판단해야 할 때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는 쉬운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더 열심히 유방암 검진을 하거나 예방적 화학치료를 하는 옵션이 있습니다. 또한 반대로 유방암이 진단된 이후에 수술할 때는 졸리와 같은 유방재건술을 하기 더 여의치 않을 것이란 문제도 있겠습니다.

개인적으론 BRCA 변이 고위험군에 대해 수술을 추천한다면 예방적 유방절제술보다 수술로 인한 부담이 적은 난소절제술을 선택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