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읽었던 정아은 작가의 '이렇게 작가가 되었습니다'
이만큼 솔직한 글쓰기 책은 없다는 카피가 어울리는 내용이라 생각했다. 솔직함과 자기 비하의 경계를 위태롭게 넘나들면서도 유머를 잃지 않아 좋았다. 읽으면서 여러 번 킥킥거리며 웃기도 했다. 글쓰기 경험에선 그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부족한 내 입장에서도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많았다. 인상깊었던 몇 가지 내용을 적어본다. 기억에만 의존한 내용이라 정확하지 않을지도 모른다.
- 책의 첫머리에서는 잘 써야 한다는 욕심을 버려야 한다고, 나아가 '잘 쓰지 않겠다'고 다짐해야 한다고 말한다. 잘 써야 한다는 욕심에 사로잡히면 초고 자체도 아예 쓰지 못할 수 있다. 나도 머릿 속의 생각이 내 손을 거쳐 활자화 되는 순간에 그 문장의 조악함과 유치함에 얼굴이 화끈거리는 경험을 종종 한다. 머릿 속을 맴도는 아이디어는 왜 그대로 멋지게 옮겨지지 않는 걸까 괴로워하다 보면 어찌어찌 써냈던 몇 줄의 문장도 그냥 깔끔하게 지우고 새로 시작하는 게 나을 거란 유혹에 무릎을 꿇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고를 완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방점은 '초고'보다 '완성'에 찍힌다. 유치함과 설익음, 비문 투성이의 글이라 해도 일단 초고를 끝까지 써야 한다는 것.- 글을 쓰는 이유는 인정욕구이다. 일단 깊게 동감하고. 내 경우엔 글을 쓰면서 생각이 정리되는 경험을 할 때가 많다. 어렴풋한 느낌으로만 실재하던 생각이 글을 쓰다보면 명확한 형태를 갖추게 되고, 내가 이래서 그렇게 느꼈구나 하고 이유를 알게 되기도 한다. 내게 글쓰기란, 갖추어진 생각을 단순히 글로 바꾸는 과정이 아니고, 뒤죽박죽 정리가 안 된 상자 한 구석을 뒤져 꺼낸 찰흙덩어리를 요모조모 살펴보며 그 안에 숨겨진 본래 모양을 깎아내는 작업에 가까울 때가 많다. 그 작업은 대개 힘들고 수고롭지만 내 생각을 발견하는 과정에서 즐거움과 경이로움을 느끼기에 다시 무언가를 쓰게 된다.
- 칼럼, 에세이, 논픽션, 소설을 집필하는 자세와 방식의 차이. 글의 형태와 목적에 따라 달라지는 작업 방식이 흥미로웠다. 내 경우에도 논문이나 교과서와 같은 학술 원고와 에세이는 차이가 크다. 이과생의 글쓰기와 문과생의 글쓰기라고나 할까. 양쪽의 모드를 스위치를 켜고 끄듯이 쉽게 바꿀 수 있다면 좋을텐데 딱딱한 글쓰기 모드에서 말랑말랑한 글쓰기 모드로 바꾸는 게 쉽지 않다. 내게 불가능해 보이는 이런 일을 어떤 이들은 너무나 쉽게 해내는 듯 보인다. 분명 의학을 다룬 책임에도 유려한 문체와 문학적 향기로 감탄과 질투를 자아내는 글도 있다. (이런 문장으로 채워진 책은 보통 뉴욕타임즈 베스트셀러에 오르거나 퓰리처상을 받는다.)
- 작가를 둘러싼 사람들, 그중에서도 편집자에 대한 글에서도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책 두 권을 쓰면서 네 명의 편집자를 만났는데, 모두가 예의바르고 성실한 분들이었다. 겨우 네 명의 편집자를 만나면서도 편집자가 어떤 일을 하는지 내가 전혀 모르고 있었다는 걸 깨달았었는데, 이 책을 읽으며 편집자의 세계는 지금 내가 알게 된 것보다 훨씬 넓고 깊다는 생각을 한번 더 하게 되었다. 마음 한 구석이 뜨끔거리기도 했다. 나는 그들에게 괜찮은 저자였던가? 출판의 세계에 대해 쥐뿔도 모르면서 내 글의 주인이라는 생각에 은근슬쩍 자만과 허영을 내비치지는 않았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