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약(僞藥; Placebo; 라틴어로서 '마음에 들다'라는 뜻)은 흉내낸, 혹은 조작된 의학적인 처치를 말한다. 위약으로 치료를 받은 환자가 주관적인 병세의 호전이나 실제 호전을 보이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을 위약 효과(Placebo Effect)라고 한다.
새로 개발된 약이 시판되려면 그 약이 치료하려는 질병에 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한 집단에서 약을 먹기 전후만을 비교하면 질병의 경과 변화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치료약과 가짜약(위약)을 먹여 반응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러한 위약대조연구에서는 위약을 먹인 그룹도 흔히 증상의 호전을 보이는데, 치료약의 효과가 이를 확실히 뛰어넘을 때 비로소 그 약의 효과가 증명된다.
질병에 따라 다르지만 위약으로 2-30%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특히 통증, 구역 증상, 천식, 공포증 등에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최고 권위의 의학학술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에 올해 발표된 연구 결과를 보면 위약의 효과를 실감하게 된다.
하버드 의대 연구팀은 40여명의 천식 환자들을 상대로 위약과 실제 치료제의 효과를 비교했다. 천식에 실제로 쓰는 진짜 흡입제(알부테롤), 가짜 흡입제(위약), 가짜 침 치료를 교대로 받게한 뒤 환자가 느끼는 증상 정도(주관적 지표)와 폐기능검사(객관적 지표)를 치료 전후에 측정했다.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폐기능검사의 경우 진짜 흡입제를 썼을 때는 20% 좋아졌지만 가짜 흡입제나 가짜 침 치료를 한 경우에는 7% 정도에 그쳤다. 이것은 당연한 결과인데, 놀라운 것은 그 다음이다.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의 경우 진짜 흡입제를 썼을 때는 50% 좋아졌다고 느꼈는데 가짜 흡입제나 가짜 침 치료를 한 경우에도 45% 좋아졌다고 느꼈다. 진짜 치료든 가짜 치료든,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의 변화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임상시험이나 실제 진료에서 위약이 투여되는지 여부는 환자에게 알리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위약이라는 것을 알고 먹는 경우에는 어떨까. 언뜻 생각해보면 이 경우엔 병이 좋아질 것이란 믿음을 갖기 어려워 효과가 없을 것 같은데, 또 다른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작년 'PLoS One' 학술지를 통해 발표한 연구에서 그 답을 찾을 수 있다.
이 연구는 80명의 과민성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모든 대상자에게 다음 네 가지 측면을 강조하는 15분 가량의 설명을 듣도록 했다.
1) 위약의 효과가 실제로 크다.
2) 우리 몸은 위약에 대해 조건반사와 같이 자동으로 반응한다.
3) 긍정적인 태도가 도움이 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4) 믿음을 가지고 위약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위약군과 무치료군으로 나누어 위약군에는 위약이라 쓰여진 젤라틴 캡슐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하고 무치료군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3주 뒤에 평가했을 때 위약을 먹은 사람들이 먹지 않은 사람들보다 증세가 호전되었고, 호전된 정도는 과민대장증후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최신 치료약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놀랍게도 환자가 위약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위약은 경우에 따라 실제 치료와 맞먹는 큰 효과를 보이는데, 객관적인 검사 결과나 질병 자체의 경과보다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치료가 안될 경우 점점 진행해 만성 염증이 기관지를 망가뜨릴 수 있는 천식과 같은 병의 경우엔, 위약으로 주관적인 증상이 좋아졌다 해도 결국 질병의 경과는 나빠지게 될 것이다. 반면에 증상 자체가 문제인 과민성장질환과 같은 기능적 질환의 경우엔 위약이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이 특정 영양제나 건강기능식품을 먹고 좋아졌다고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 역시 위약 효과일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좋아지는 것은 본인의 느낌일 뿐, 실제 내 몸에 미치는 객관적인 효과는 전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좋아질 것이란 믿음이 클수록 주관적인 효과를 느낄 확률도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내가 구입한 제품이 약만큼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 해도 막상 먹을 때는 '그래도 도움이 되겠지.'란 생각을 가지기 마련이며,두번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막연한 믿음을 가지고 꾸준히 먹는 것만으로 증상이 좋아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판매되는 많은 제품들 중 위약 효과를 광고하는 경우는 절대 없으며, 대부분의 구매자는 근거가 부족한 과장된 광고와 통념을 믿고 비싼 금액을 지불한다. 실제 효과가 아닌 위약 효과라 해도 증상이 나아지면 좋은 것 아니냐고 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생각을 하는 분이 있다면 같은 돈으로 대신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기부를 하는 것도 고려해보시길. 좋은 사회적 관계나 선행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도 충분히 많으니 말이다.
참고문헌
Hrobjartsson A, Gøtzsche PC. Is the placebo powerless? An analysis of clinical trials comparing placebo with no treatment. N Engl J Med. 2001 May 24;344(21):1594-602.
Hrobjartsson A, Gøtzsche PC. Placebo interventions for all clinical conditio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 Jan 20;(1):CD003974.
Wechsler ME, Kelley JM, Boyd IO, Dutile S, Marigowda G, Kirsch I, Israel E, Kaptchuk TJ. Active albuterol or placebo, sham acupuncture, or no intervention in asthma. N Engl J Med. 2011 Jul 14;365(2):119-26.
Ted J. Kaptchuk, Elizabeth Friedlander, John M. Kelley, M. Norma Sanchez, Efi Kokkotou, Joyce P. Singer, Magda Kowalczykowski, Franklin G. Miller, Irving Kirsch, Anthony J. Lembo. Placebos without Decep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Irritable Bowel Syndrome. PLoS One. 2010; 5(12): e15591.
- 출처: 위키피디아
새로 개발된 약이 시판되려면 그 약이 치료하려는 질병에 대해 효과가 있는지에 대해 확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한 집단에서 약을 먹기 전후만을 비교하면 질병의 경과 변화가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므로 대상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치료약과 가짜약(위약)을 먹여 반응의 차이를 비교한다. 이러한 위약대조연구에서는 위약을 먹인 그룹도 흔히 증상의 호전을 보이는데, 치료약의 효과가 이를 확실히 뛰어넘을 때 비로소 그 약의 효과가 증명된다.
질병에 따라 다르지만 위약으로 2-30% 정도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특히 통증, 구역 증상, 천식, 공포증 등에서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한다. 최고 권위의 의학학술지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하버드 의대 연구팀은 40여명의 천식 환자들을 상대로 위약과 실제 치료제의 효과를 비교했다. 천식에 실제로 쓰는 진짜 흡입제(알부테롤), 가짜 흡입제(위약), 가짜 침 치료를 교대로 받게한 뒤 환자가 느끼는 증상 정도(주관적 지표)와 폐기능검사(객관적 지표)를 치료 전후에 측정했다.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폐기능검사의 경우 진짜 흡입제를 썼을 때는 20% 좋아졌지만 가짜 흡입제나 가짜 침 치료를 한 경우에는 7% 정도에 그쳤다. 이것은 당연한 결과인데, 놀라운 것은 그 다음이다.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의 경우 진짜 흡입제를 썼을 때는 50% 좋아졌다고 느꼈는데 가짜 흡입제나 가짜 침 치료를 한 경우에도 45% 좋아졌다고 느꼈다. 진짜 치료든 가짜 치료든, 환자가 느끼는 주관적인 증상의 변화 정도는 큰 차이가 없었다는 것이다.
임상시험이나 실제 진료에서 위약이 투여되는지 여부는 환자에게 알리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그런데 위약이라는 것을 알고 먹는 경우에는 어떨까. 언뜻 생각해보면 이 경우엔 병이 좋아질 것이란 믿음을 갖기 어려워 효과가 없을 것 같은데, 또 다른 하버드 의대 연구팀이 작년 'PLoS One'
이 연구는 80명의 과민성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는데, 먼저 모든 대상자에게 다음 네 가지 측면을 강조하는 15분 가량의 설명을 듣도록 했다.
1) 위약의 효과가 실제로 크다.
2) 우리 몸은 위약에 대해 조건반사와 같이 자동으로 반응한다.
3) 긍정적인 태도가 도움이 되지만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4) 믿음을 가지고 위약을 먹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위약군과 무치료군으로 나누어 위약군에는 위약이라 쓰여진 젤라틴 캡슐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도록 하고 무치료군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3주 뒤에 평가했을 때 위약을 먹은 사람들이 먹지 않은 사람들보다 증세가 호전되었고, 호전된 정도는 과민대장증후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최신 치료약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놀랍게도 환자가 위약임을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효과가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위약은 경우에 따라 실제 치료와 맞먹는 큰 효과를 보이는데, 객관적인 검사 결과나 질병 자체의 경과보다는 환자의 주관적인 증상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적절한 치료가 안될 경우 점점 진행해 만성 염증이 기관지를 망가뜨릴 수 있는 천식과 같은 병의 경우엔, 위약으로 주관적인 증상이 좋아졌다 해도 결국 질병의 경과는 나빠지게 될 것이다. 반면에 증상 자체가 문제인 과민성장질환과 같은 기능적 질환의 경우엔 위약이 보다 많은 도움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이 특정 영양제나 건강기능식품을 먹고 좋아졌다고 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는데, 이것 역시 위약 효과일 가능성이 많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좋아지는 것은 본인의 느낌일 뿐, 실제 내 몸에 미치는 객관적인 효과는 전혀 없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좋아질 것이란 믿음이 클수록 주관적인 효과를 느낄 확률도 높아질 것이다. 하지만 내가 구입한 제품이 약만큼 큰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고 있는 사람이라 해도 막상 먹을 때는 '그래도 도움이 되겠지.'란 생각을 가지기 마련이며,두번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막연한 믿음을 가지고 꾸준히 먹는 것만으로 증상이 좋아질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판매되는 많은 제품들 중 위약 효과를 광고하는 경우는 절대 없으며, 대부분의 구매자는 근거가 부족한 과장된 광고와 통념을 믿고 비싼 금액을 지불한다. 실제 효과가 아닌 위약 효과라 해도 증상이 나아지면 좋은 것 아니냐고 할지도 모르겠다. 그런 생각을 하는 분이 있다면 같은 돈으로 대신 친구와 즐거운 시간을 보내거나 기부를 하는 것도 고려해보시길. 좋은 사회적 관계나 선행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들도 충분히 많으니 말이다.
참고문헌
Hrobjartsson A, Gøtzsche PC. Is the placebo powerless? An analysis of clinical trials comparing placebo with no treatment. N Engl J Med. 2001 May 24;344(21):1594-602.
Hrobjartsson A, Gøtzsche PC. Placebo interventions for all clinical condition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 Jan 20;(1):CD003974.
Wechsler ME, Kelley JM, Boyd IO, Dutile S, Marigowda G, Kirsch I, Israel E, Kaptchuk TJ. Active albuterol or placebo, sham acupuncture, or no intervention in asthma. N Engl J Med. 2011 Jul 14;365(2):119-26.
Ted J. Kaptchuk, Elizabeth Friedlander, John M. Kelley, M. Norma Sanchez, Efi Kokkotou, Joyce P. Singer, Magda Kowalczykowski, Franklin G. Miller, Irving Kirsch, Anthony J. Lembo. Placebos without Decep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in Irritable Bowel Syndrome. PLoS One. 2010; 5(12): e1559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