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19일 월요일

멸종 위기를 대하는 자세

영화 '돈룩업'은 우연히 발견한 혜성이 지구와 충돌하기까지의 과정을 그린 영화이다. 6개월 뒤 혜성 충돌로 인류가 멸종할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된 주인공 천문학자들은 이 사실을 알리기 위해 동분서주한다. 백악관에 보고할 기회를 갖지만 대통령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며 당장 있을 중간 선거에만 관심을 보인다. 언론과 방송에도 사실을 제보하지만 역시나 토크쇼의 가십거리 정도로 치부될 뿐이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정치적 위기에 빠진 대통령이 국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해 핵폭탄이 탑재된 우주 로켓으로 혜성의 궤도를 변경하겠다는 발표를 하지만, 이 계획은 거액후원자인 IT 사업가에 의해 중단된다. 알고보니 혜성에는 엄청난 양의 희귀 광물이 묻혀 있었고, 이 광물에 눈이 먼 사업가가 드론을 보내 혜성을 작은 조각들으로 쪼개 떨어뜨리는 계획을 세운 것이다. 그러나 드론 발사는 실패로 돌아가고, 결국 모두가 지구의 멸망을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다. 

영화 속 과학적 계산에 따르면 혜성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99.78%이다. (과학자는 본래 100%란 말을 하지 않는다.) 주인공은 확신을 갖고 말하지만 이 수치 앞에서 정치인은 계산의 정확도를 의심하고, 토크쇼 진행자는 오히려 과학자의 정신 상태를 트집잡는다. 온라인의 댓글들은 과학자들을 조롱한다. 주인공은 이런 반응이 당황스러울 따름이다. 지구 멸망이 6개월 뒤란 확실한 근거가 있는데 어떻게 믿지 않을 수 있지? 하지만 과학적 추론과 점쟁이의 예언을 구분하지 못하는 이들에게 혜성의 충돌로 인한 인류의 멸종은 한때 유행했던 종말론과 다를 게 없다. 누군가는 기후 위기로 인한 북극곰의 멸종보다도 시덥잖은 주장으로 들었을 것이다. 

실제로 북극곰은 대표적인 멸종 위기 동물로 꼽히지만, 다른 수많은 멸종위기종에 비하면 아직 여유가 있는 편이다. 국제자연보전연맹에서는 멸종 위기를 세 단계로 구분한다고 한다. 북극곰은 위기 등급이 가장 낮은 '취약' 단계의 동물이다. 이보다 위기 등급이 높은 '위기' 단계엔 아시아코끼리, 갈라파고스펭귄 등이 있고, 전 세계에 남은 개체수가 수백 마리 뿐으로 가장 등급이 높은 '위급' 단계엔 벵골대머리수리나 수마트라코뿔소와 같은 동물이 있다. 

오래 전부터 의료계에는 멸종을 경고하는 목소리가 있었다. 우리나라 의료계의 대표적인 멸종위기종으로 선천성 심장병 수술을 하는 소아흉부외과 의사가 있다. 동아일보 보도에 따르면 현재 국내 소아흉부외과 전문의는 33명이고 10년 뒤엔 17명으로 줄어든다. 비슷한 처지의 소아외과나 소아비뇨의학과 의사 역시 멸종위기종에 속한다. 최근엔 분만을 담당하는 산과 의사(산부인과는 산과와 부인과로 나뉜다)나 뇌혈관 개두술을 하는 신경외과 의사도 개체수가 급격히 감소해 멸종위기종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앞에서의 국제 분류에 비유하면 소아흉부외과 의사는 벵골대머리수리, 뇌혈관외과 의사는 갈라파고스펭귄쯤 될까. 소아청소년과나 응급의학과는 조만간 북극곰 수준이 될 것 같다. 이러한 멸종 위기는 주로 당직이나 응급콜이 존재하는 과의 문제이므로 내가 속한 과의 의사들은 다행히도 멸종위기종에 포함되지 않지만, 나와 무관한 문제는 결코 아니다. 미래에 내 뇌혈관이 터지면 과연 나는 무사히 수술을 받을 수 있을 것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멸종에 대한 경고는 오랫동안 무시되었다. 영화에서 혜성을 발견한 과학자들의 경고처럼. 6개월 전 갑작스레 누구도 예상치 못한 파격적인 멸종위기종 구제책이 발표되었으나, 오히려 이 구제책은 멸종 위기를 급격하게 키우는 결과를 낳아버렸다. 혜성의 방향을 바꿀 수 있을 거라 기대했으나 오히려 혜성의 가속페달을 밟은 셈이다. 혜성은 더 빠르게 다가오고 절멸의 시간도 그만큼 당겨졌지만, 이후에도 혜성의 속도를 늦추고 방향을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건 아니었다. 그럼에도 책임자들은 다가오는 거대한 혜성은 그냥 두고 열심히 지상에 바리케이드를 쌓고 있다. 그러니 예상된 멸종을 앞둔 우리는 실존적 고민을 할 수밖에 없다. 무엇을 말하고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 그 고민의 과정이 지난 6개월 동안의 시간이었다. 

영화 후반부, 혜성이 가까워지면서 천체망원경으로만 보이던 혜성이 육안으로도 보이는 순간이 찾아온다. 운전 중이던 주인공 과학자는 도로 한가운데에 차를 세우고 하늘을 가리키며 정신 나간 사람처럼 외친다. 

"저거예요! 저게 그 혜성이예요. 저기 있다고! 내내 말했잖아요. 저기 있다고!"

며칠 전 모 대학병원 응급실 폐쇄 기사를 보며 영화의 그 장면이 생각났다. "그렇게 될 거라고, 우리가 내내 말했잖아요!"

영화의 마지막,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종말을 받아들인다. 파티를 하고, 미친 듯이 술을 마시고, 사랑을 나누고, 평소와 같이 지하철을 기다리고, 아이를 목욕시킨다. 주인공은 가족과 함께 마지막 저녁 식사를 한다. 그리고 혜성 충돌로 쓰나미가 닥치기 직전 아내의 손을 잡고 마지막 유언을 남긴다. "생각해보면, 우린 정말 부족한 게 없었어. 그렇지?" 

종말의 상황이라면 나도 주인공과 같은 선택을 하지 않을까. 역시 가족인 것이다. 그러니 절멸의 위기가 닥칠 의료 환경에서 나도 가족도 크게 아프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가족 이야기가 나와서 말인데, 사실 현재의 실존적 고민은 멸종위기종에 대한 것보다 훨씬 현실적이다. 나흘 전 아내가 여행을 갔고, 나와 아이들만 보낼 시간이 아직도 사흘이 더 남았다는 사실이다. 그러니 미래의 위기에 대한 부질없는 넋두리보다 당장의 생존을 고민해야 할 때란 의미다. 

애들 밥이나 챙기러 가야겠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