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나봐."
어머니가 어깨를 가만히 흔드셨다. 단잠을 자던 소년은 영문을 모르고 눈을 떴다. 아직 안방에 텔레비젼이 켜져있는 모양인지 두런두런 소리가 들렸다. 수명이 다된 형광등 빛이 파르르 떨렸다.
"엄마 말 잘 들어야 해. 큰일이 나부렀어야..."
어머니의 눈동자가 불안하게 흔들리고 있었다. 얼굴 표정은 걱정으로 가득해보였지만 어머니는 그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으셨다. 소년은 그저 어리둥절할 뿐이었다. 자고있는 동안에 무슨 일이 생긴걸까. 1987년 겨울, 소년은 열네살이었다. 텔리비젼에선 밤늦게까지 뉴스가 나오고 있었다. 그날은 새 대통령이 선출된 날이었고, 뉴스의 내용과 어머니의 어두운 표정이 무언가 관련이 있을거라 어렴풋이 느낄 뿐이었다.
새 대통령은 '보통 사람'이라고 했다. 어머니의 걱정과는 달리 그날 이후 별다른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그날 밤의 일은 소년의 기억에 봉인되었다. 소년은 몇 년이 지나 성인이 되서야, '보통 사람'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그날 어머니의 표정이 왜 그리 어두웠는지 알게 되었다.
80년 5월에 소년은 국민학교 1학년이었다. 탄광촌에서 약국을 하시던 아버지는 소년이 입학하던 해에 시내로 이사를 했다. 새로 이사온 집은 시의 가장 변두리였기 때문에 늘 조용한 편이었다. 5월의 그 열흘간이 어떠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휴교를 했기에 동네 친구들과 늘 하던 술래잡기나 구슬치기 같은 걸 했을 것이다. 부모님이 함부로 나다니지 않도록 주의를 주셨던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어느 저녁, 약국 앞길을 지나던 트럭에서 내린 청년들에게 아버지가 박카스 몇 박스를 주었던 것은 또렷이 기억한다. 그 장면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은 것은 시커먼 총을 든 청년들의 비장한 표정 때문이었던 것 같다.
소년이 모르고 있었지만, 그 열흘간 사람이 많이 죽었다고 했다. 10년쯤 지나 고등학생이 되어 금남로 지하도를 지나던 소년이 본 시뻘건 사진들은 그때 죽은 사람들이었다. 해마다 5월이 되면 시내 지하도 벽엔 비슷한 사진들이 붙었다가 떼어지길 반복했다. 그 사진 앞을 지날때면 사람들은 굳은 표정으로 종종걸음을 쳤다. 처음 멋모르고 다가가 사진을 보고 메슥거림을 느낀 뒤로, 소년은 다신 그 사진들 가까이 가지 않았다. 80년 5월에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알게된 것은 광주를 떠나 대학에 들어간 이후였다.
열네살 소년이 단잠을 깨던 날, 어머니의 불안 가득한 표정은 7년 전의 일이 다시 반복될 수도 있다는 공포 때문이었을 것이다. 7년 전 사람들은 군인들에게 죽음을 당했고, 그날은 그 군인들이 다시 통치권을 쥐게 된 날이었다. 되돌아보면 지나친 걱정이었지만, 그 도시에서 끔찍한 트라우마를 겪었던 이들이라면 당연히 가질 법한 공포였다. 어머니 혼자만의 느낌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날 밤 불안은 도시 전체를 진득하게 뒤덮고 있었을 것이다.
1987년 겨울, 대한민국 13대 대통령이 당선되던 날 밤 어머니가 했던 말은 아이에게가 아니라 스스로에게 하는 다짐이었는지도 모른다.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는. 그것을 알게된 뒤로 해마다 5월이 되면 그 도시의 사람들을 오랜 세월동안 괴롭혔을 악몽을 떠올렸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이모와 삼촌, 동네 아저씨와 아주머니들. 모두가 그런 불안과 공포를 십수년간 느꼈을 것이란 사실은 소년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곤 했다. 아직 악몽은 끝나지 않았다. 총성을 직접 듣지 않은 소년에게 5월 광주에 대한 기억은 그런 것이었다.
어머니가 어깨를 가만히 흔드셨다. 단잠을 자던 소년은 영문을 모르고 눈을 떴다. 아직 안방에 텔레비젼이 켜져있는 모양인지 두런두런 소리가 들렸다. 수명이 다된 형광등 빛이 파르르 떨렸다.
"엄마 말 잘 들어야 해. 큰일이 나부렀어야..."
어머니의 눈동자가 불안하게 흔들리고 있었다. 얼굴 표정은 걱정으로 가득해보였지만 어머니는 그 이유를 설명해주지 않으셨다. 소년은 그저 어리둥절할 뿐이었다. 자고있는 동안에 무슨 일이 생긴걸까. 1987년 겨울, 소년은 열네살이었다. 텔리비젼에선 밤늦게까지 뉴스가 나오고 있었다. 그날은 새 대통령이 선출된 날이었고, 뉴스의 내용과 어머니의 어두운 표정이 무언가 관련이 있을거라 어렴풋이 느낄 뿐이었다.
새 대통령은 '보통 사람'이라고 했다. 어머니의 걱정과는 달리 그날 이후 별다른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그날 밤의 일은 소년의 기억에 봉인되었다. 소년은 몇 년이 지나 성인이 되서야, '보통 사람'이 대통령으로 선출된 그날 어머니의 표정이 왜 그리 어두웠는지 알게 되었다.
80년 5월에 소년은 국민학교 1학년이었다. 탄광촌에서 약국을 하시던 아버지는 소년이 입학하던 해에 시내로 이사를 했다. 새로 이사온 집은 시의 가장 변두리였기 때문에 늘 조용한 편이었다. 5월의 그 열흘간이 어떠했는지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 휴교를 했기에 동네 친구들과 늘 하던 술래잡기나 구슬치기 같은 걸 했을 것이다. 부모님이 함부로 나다니지 않도록 주의를 주셨던 것 같기도 하다. 하지만 어느 저녁, 약국 앞길을 지나던 트럭에서 내린 청년들에게 아버지가 박카스 몇 박스를 주었던 것은 또렷이 기억한다. 그 장면이 오래도록 기억에 남은 것은 시커먼 총을 든 청년들의 비장한 표정 때문이었던 것 같다.
소년이 모르고 있었지만, 그 열흘간 사람이 많이 죽었다고 했다. 10년쯤 지나 고등학생이 되어 금남로 지하도를 지나던 소년이 본 시뻘건 사진들은 그때 죽은 사람들이었다. 해마다 5월이 되면 시내 지하도 벽엔 비슷한 사진들이 붙었다가 떼어지길 반복했다. 그 사진 앞을 지날때면 사람들은 굳은 표정으로 종종걸음을 쳤다. 처음 멋모르고 다가가 사진을 보고 메슥거림을 느낀 뒤로, 소년은 다신 그 사진들 가까이 가지 않았다. 80년 5월에 광주에서 무슨 일이 있었는지 자세히 알게된 것은 광주를 떠나 대학에 들어간 이후였다.
열네살 소년이 단잠을 깨던 날, 어머니의 불안 가득한 표정은 7년 전의 일이 다시 반복될 수도 있다는 공포 때문이었을 것이다. 7년 전 사람들은 군인들에게 죽음을 당했고, 그날은 그 군인들이 다시 통치권을 쥐게 된 날이었다. 되돌아보면 지나친 걱정이었지만, 그 도시에서 끔찍한 트라우마를 겪었던 이들이라면 당연히 가질 법한 공포였다. 어머니 혼자만의 느낌은 아니었을 것이다. 그날 밤 불안은 도시 전체를 진득하게 뒤덮고 있었을 것이다.
1987년 겨울, 대한민국 13대 대통령이 당선되던 날 밤 어머니가 했던 말은 아이에게가 아니라 스스로에게 하는 다짐이었는지도 모른다.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는. 그것을 알게된 뒤로 해마다 5월이 되면 그 도시의 사람들을 오랜 세월동안 괴롭혔을 악몽을 떠올렸다. 할아버지와 할머니, 이모와 삼촌, 동네 아저씨와 아주머니들. 모두가 그런 불안과 공포를 십수년간 느꼈을 것이란 사실은 소년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곤 했다. 아직 악몽은 끝나지 않았다. 총성을 직접 듣지 않은 소년에게 5월 광주에 대한 기억은 그런 것이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