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월 27일 일요일

익숙함과 생소함

샌디에고에서 새로 계약한 집은 이층 건물 아파트의 일층이었다. 첫 며칠 간은 여기저기 생소하고 어색한 것들 투성이였다. 차고와 이어진 현관, 카페트가 깔린 방, 벽지 대신 페인트가 발린 벽, 벽난로가 있는 거실. 하루하루 시간이 지나면서 많은 것들에 적응이 되었지만 화장실 안에 있는 전등 스위치는 한동안 익숙해지지 않았다. 미국 집의 화장실은 대부분 전등 스위치가 문 안쪽 내부에 있다. 물론 화장실엔 창문이 없다. 화장실에 들어가 깜깜한 벽을 더듬거리며 전등 스위치를 찾을 때마다 한숨이 나왔다. 도대체 왜 스위치를 바깥에 만들지 않은걸까?

일 년이 지났다. 귀국 첫날 한국 집에 돌아와 화장실에 처음 갔을 때, 먼저 든 생각은 ‘왜 화장실 안에 전등 스위치가 없지?’ 였다. 무심코 화장실 안에서 스위치를 찾고있는 걸 깨닫고 헛웃음이 나왔다. 예전처럼 자연스럽게 화장실 밖에서 스위치를 켜고 들어가는데 익숙해지기까지 며칠의 시간이 걸렸다. 우스운 것은 그 기간 동안 화장실에 갈 때마다 어색함과 불편을 느꼈다는 점이다. 평생 화장실 밖에서 미리 불을 켜고 들어갔었고, 그 순서가 바뀐 것은 겨우 일 년 뿐인데도.

미국에서 외식을 할 때야말로 한국이 그리웠다. 뉴욕이나 LA와 같은 대도시가 아니라면 맛집을 찾긴 쉽지 않고, 진짜 맛집은 그만큼 비싸다. 차곡차곡 붙는 택스와 팁의 부담도 크다. 한국처럼 다양한 식당과 메뉴를 저렴한 가격에 접할 수 없다. 귀국이 다가오면서 아이들과 한국에서 먹을 음식들을 손으로 꼽아가며 즐거운 상상을 했다. 식사가 끝나고 계산서를 가져다 줄 직원을 하염없이 기다리는 것은 일년이 지나도록 익숙해지지 않았다.

자가 격리가 끝나고 아이들과의 첫 외식은 예전 자주 가던 집 근처 양꼬치 식당이었다. 소박한 식당 내부도, 음식 맛도 이전과 다르지 않았다. 반찬 좀 더 가져다 주세요, 라는 말을 할 수 있다는 게, 꼬치 추가를 시키자 서비스로 나오는 만두가, 이곳이 한국임을 실감하게 했다. 오랜만에 진정 만족스런 외식이었다. 식사를 마친 뒤 우리는 계산서를 가져다줄 직원을 기다리지 않고 곧바로 카운터로 가 계산을 했다. 이 가격에 이 정도의 음식을 배불리 먹을 수 있다니. 새삼 놀라웠다. 딸려붙는 세금도, 팁도 없이 메뉴판 가격 그대로인 영수증은 지나치게 가볍게 느껴졌다.

화장실 문 밖에 있는 스위치도, 동네 허름한 맛집에서의 외식도 금새 다시 익숙해졌다. 하지만 문득문득 생소하고 다르게 느껴졌던 그 순간의 기억은 잊지 않으려 한다. 그동안 살면서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많은 것들은, 응당 그래서야 해서가 아니고 그저 익숙했기 때문에 그렇게 느꼈던 것일지도 모른다. 그걸 깨달을 수 있어 다행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